보리밥은 소화가 잘 된다

보리밥은 소화가 잘 된다


보리밥은 소화가 잘 된다



이번에는 전문가가 극찬하는 보리밥의 신비한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리는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곡물의 하나입니다.



보리는 다른 곡식들보다 열을 많이 내는 작물입니다.
그래서 이 곡식은 여름에 먹기가 좋습니다.

보리는 단백질이 많고 지방질이 적으며 비타민 B1, B2, 철분, 회분 등이 많습니다.
보리는 쌀과 함께 중요한 곡식으로 주로 엿기름, 맥아의 원료로 쓰입니다.

4. 변비예방 보리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는 장운동을 부드럽게 해주고 배변을 쉽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변비에 걸린 사람은 보리밥을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5. 다이어트와 노화방지 보리에는 쌀에 비해 칼로리가 적고 식이섬유가 많을 뿐 아니라 비타민 B1, B2, E, 판토텐산, 니아신 등도 풍부합니다.


또한 보리에 들어 있는 비타민E는 피부를 매끄럽게 해주고 노화를 억제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6. 빈혈예방 보리에는 엽산이 풍부해서 빈혈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보리의 효능을 알고 먹자!

보리밥은 우리의 몸에 필요한 90%의 영양이 밥에 들어 있다고 하는데요.
보리의 효능을 알고, 많이 먹어 건강한 몸을 만들어 봐요!



02 미용에 좋다.
피부를 탄력있게 만들어주고 탄력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피부의 주름을 없애준다.

또한 보리에는 비타민B1, B2, 철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보리의 토코트리에놀은 비타민E의 50배나 되는 강한 항산화작용을 가지고 있어, 체내의 과산화지방의 농도를 낮추어 노화방지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피부가 탄력이 떨어져 칙칙해 보일 때나, 주름이 생긴 경우에 보리를 많이 먹으면 피부도 좋아지고 몸도 날씬해 진다.




 쌀보다는 열이 많지만 쌀보다는 훨씬 적은 열량이 있다



쌀보다는 열이 많지만 쌀보다는 훨씬 적은 열량이 있다.


04 다이어트에 도움 보리에는 쌀보다도 칼로리가 적은 것이 많다.


보리밥을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 이유는 쌀의 절반밖에 안되는 칼로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리는 백미보다 영양분이 많고 소화율도 훨씬 높다.
07 소화를 돕는다.

보리는 위를 편안하게 해준다.
위가 편하고 식욕이 낮아지게 하는 것을 보리밥을 먹으면 밥맛이 좋아진다.

보리가 쌀보다도 훨씬 좋은 이유인데, 보리는 따뜻한 성질로 속을 편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밥을 주식으로 할 때에는 따뜻한 보리밥을 먹어도 좋다.




 보리는 따뜻한 성질이라 차가운 속을 편하게 해주는데, 그래서 소화기관이 약하거나 설사를 잘하는 사람은 보리밥을 먹으면 속이 편하다



보리는 따뜻한 성질이라 차가운 속을 편하게 해주는데, 그래서 소화기관이 약하거나 설사를 잘하는 사람은 보리밥을 먹으면 속이 편하다.


08 보리밥은 소화가 잘 된다.
식이섬유소가 많은 보리는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주고, 위를 편하게 해주는 등 소화에 좋다.

보리밥을 하면 구수한 냄새가 나는데, 이것은 보리의 전분이 발효되면서 생긴 것이다.
이 성분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주고, 위를 편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09 부기를 제거한다.
보리에는 이뇨작용을 도와주는 성분이 있어서, 보리에 있는 칼륨이 체내 노폐물이나 수분을 제거해주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도와주기 때문에 부기를 제거하는데 좋습니다.




 보리밥을 먹을 때에는 백미밥을 먹을 때보다 물을 더 많이 섭취하게 된다



보리밥을 먹을 때에는 백미밥을 먹을 때보다 물을 더 많이 섭취하게 된다.


1. 보리밥은 흰 쌀밥보다 소화가 더 잘된다.
소화가 더 잘된다는 것은 속을 편하게 하고 영양소의 흡수를 더 잘하게 해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잘 나온다.
보리는 소화가 잘 안되는 곡물이다.

보리밥을 먹으면 소화가 잘 안되고 헛배가 부른 것 같은 느낌을 받는데, 이는 보리 껍질에 있는 셀룰로스와 리그닌이 변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을 하고, 또 식이섬유가 풍부한 반면, 소화가 잘 안되는 탄수화물이기 때문이다.
4. 보리를 안 먹으면 머리가 나빠진다.

영양학적으로도 보리는 쌀에 없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풍부하고, 밀가루보다 4배나 많은 섬유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6. 변비를 해결해준다.




 보리는 탄수화물이지만 탄수화물의 구성 중 쌀이나 밀가루보다도 보리가 훨씬 좋다



보리는 탄수화물이지만 탄수화물의 구성 중 쌀이나 밀가루보다도 보리가 훨씬 좋다.


보리가 많이 든 밥을 먹으면 몸이 따뜻해지며 소화가 잘 되기 때문에 소화기능이 더욱 좋아진다.
8. 방귀가 나온다.

사람은 하루에 0.1~0.2g의 방귀가 나온는데, 이는 장운동이 정상화되면서 방귀가 나오기 때문.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많이 나오는 것이 정상적인 것일 뿐, 방귀가 나올 정도라면 심각한 상태라고 보면 된다.






주의: 이 글의 모든 내용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의 의견입니다.
글에는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일체의 피해에 대해 필자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글을 통해 어떠한 행위를 하기 전에 반드시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