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소갈비의 조리방법 1) 불고기: 돼지목살과 같은 방법으로 1~2시간 정도 재워 놓는다

terra-forming 2022. 8. 26. 19:28
소갈비의 조리방법 1) 불고기: 돼지목살과 같은 방법으로 1~2시간 정도 재워 놓는다

소갈비의 조리방법 1) 불고기: 돼지목살과 같은 방법으로 1~2시간 정도 재워 놓는다


소갈비의 조리방법 1) 불고기: 돼지목살과 같은 방법으로 1~2시간 정도 재워 놓는다



이번 시간에는 영양 전문가들이 칭찬하는 소갈비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는 우리 몸에서 정말 특별한 역할을 맡고 있는데요.



소갈비의 경우 소고기의 왕이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을 만큼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중요한 부위로, 양질의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영양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고 하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소갈비의 효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비타민 B1 B2가 풍부해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소갈비의 효능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효능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소갈비의 효능 1) 육질이 부드럽고 연하여 맛이 일품이다.


2) 근육에 지방이 잘 축적되지 않으며, 소화나 흡수를 촉진시킨다.


3) 고기의 결이 고우며, 지방이 적은 편이다.
4) 성장발육촉진작용이 있다.

5) 담백한 맛과 독특한 향이 있어 입맛을 돋운다.
7) 비타민 B1 B2가 풍부하여 피로회복에 좋다.



11) 각종 오염물질로 인해 장이 나빠질 때에 매우 좋다.



 13) 지방이 적고 저칼로리여서 다이어트 식품으로 좋다



13) 지방이 적고 저칼로리여서 다이어트 식품으로 좋다.


16) 비타민이 풍부하여 체력보강은 물론 피부미용, 피로회복에 매우 좋다.
17) 단백질이 많아 성장에 좋다.

19) 소화기 장애에 좋다.
20) 소갈비의 단백질이 주성분인 젤라틴은 열을 가하면 파괴되기 때문에 구울 때에 양질의 아미노산이 손실되므로 짧은 시간에 센 불에 구워내는 것이 좋다.



2. 소갈비의 조리방법 1) 불고기: 돼지목살과 같은 방법으로 1~2시간 정도 재워 놓는다.
2) 갈비: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서 연육작용을 한다.




 3) 불고기: 얇게 저민 쇠고기를 양념장에 재웠다가 굽는다



3) 불고기: 얇게 저민 쇠고기를 양념장에 재웠다가 굽는다.


4) 불고기: 불고기를 하고 난 후 남은 고기나 야채에 갖은양념을 해서 전골을 해먹는다.
5) 갈비탕: 쇠갈비의 힘줄을 떼고 물에 넣고 푹 삶아서 사태는 다 익으면 살과 비계를 떼어 내고 뼈를 발라내어 썰어 놓은 고기와 데친 우거지를 반반씩 섞어 양념을 한다.

이 양념을 한 갈비살을 1센티 두께로 썰어 꼬치에 꿰어 밀가루와 달걀을 입혀 지져낸다.


6) 쇠갈비찜: 갈비 1대에 배즙 1컵, 통마늘 5쪽, 파 2개, 생강 1톨, 후추 조금, 진간장 3분의2컵을 넣어 양념장을 만든다음 갈비를 재어 두었다가 갈비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끓인다.

갈비와 함께 감자, 당근, 밤, 은행, 대추 등을 넣고, 양념은 넉넉히 한다.
7) 쇠갈비구이: 쇠갈비를 양념장에 잘 재운다음 석쇠에 굽는다.

위에 배즙을 얹어 낸다.
쇠갈비에 적당히 칼집을 넣어야 양념이 잘 배어든다.




 쇠고기는 1~15센티 두께로 얇게 썰어서 양념해 둔다



쇠고기는 1~1.5센티 두께로 얇게 썰어서 양념해 둔다.




얇게 저민 쇠고기를 양념장에 잘 섞어 재어 둔다.
쇠고기를 석쇠에 굽는다.

11) 돼지목살: 대파, 양파, 마늘, 생강, 후추를 넣고 1시간정도 삶는다.
고기를 얇게 저며 양념과 함께 석쇠에 굽는다.

12) 돼지갈비: 돼지갈비를 양념장에 잘 재어 두었다가 굽는다.
13) 소갈비의 효능이 좋아짐에 따라 갈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식당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소갈비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1. 소의 유래 소와 갈비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과 함께 하며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물입니다.

조선시대 문헌과 고기의 부위, 조리방법 등을 소개해 놓은 방대한 '고기의 백과사전'인 <난호어목지>(1808년)에는 소의 부위에 대한 설명과 요리방법이 상세히 소개돼 있는데요.



 우리 고기에 대한 역사와 지식도 얻을 수 있고, 맛 좋은 소고기의 좋은 정보를 찾을 수가 있습니다



우리 고기에 대한 역사와 지식도 얻을 수 있고, 맛 좋은 소고기의 좋은 정보를 찾을 수가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우리나라에는 현재 소가 약 4∼5종 있는데 그 중에서도 조선시대에 특히 중요시했다는 사실이며, '세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말처럼 우리가 먹기 시작한 이래로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그 사람의 성품과 됨됨이를 나타내는 일종의 상징적인 동물로 인식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갈비를 포함한 소의 부산물들은 그 희소성과 또한 용도가 많아 예로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되었는데 서민들이 즐겨먹는 해장국에도 꼭 필요한 부위가 바로 소에서 나온 부산물들입니다.

'소'란 가축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육지의 모든 짐승 중에서 사람이 가장 오랜 세월 동안 길들여진 동물입니다.
이러한 소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온순한 성질을 이용하여 사람이 사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목초를 찾아 이동하기도 하고, 죽은 시체를 치우는 매우 유용한 동물로 이용되기도 하고, 고기를 제공해주기도 하고, 가죽으로 의복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고기를 제공하는 데에는 소는 매우 유용한 동물임에 틀림없다.



 우리의 주식인 쌀과 밀가루는 소의 가죽을 벗겨 만든 것이고, 소는 밭을 갈거나 수레를 끄는 일을 하는 것 외에는 대개 고기와 가죽을 이용하는 일을 하였다



우리의 주식인 쌀과 밀가루는 소의 가죽을 벗겨 만든 것이고, 소는 밭을 갈거나 수레를 끄는 일을 하는 것 외에는 대개 고기와 가죽을 이용하는 일을 하였다.


우리도 옛날부터 소를 기르고 쇠고기를 먹었던 민족인데 우리의 역사는 우리가 현재 갖고 있는 생각이나 지식에 비교하면 너무나도 보잘것없는 것이지만 그 동안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생각과 지식을 살펴보면 소는 우리 민족에게는 매우 중요한 상징적인 존재였던 것입니다.
우리 민족이 목축과 사육과 정육 문화에 일찍이 눈을 뜨고 가장 중요한 육류로 취급했던 까닭은 소가 우리의 가장 중요한 식생활에 필요한 영양원을 제공해 주었기 때문입니다.

쇠고기의 등심에는 16 %정도의 지방이 있는데 비해 암소갈비는 지방이10 % 이하로 적고 살코기가 많은 것이 특색입니다.





주의: 이 글의 모든 내용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의 의견입니다.
글에는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일체의 피해에 대해 필자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글을 통해 어떠한 행위를 하기 전에 반드시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