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는 껍질이 딱딱하여 일반적으로 표면을 솔로 문질러 깨끗이 해서 드셔야 합니다
게껍질에 많이 들어있는 키틴과 키토산이라는 성분이 체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이 높은 게를 먹으면 효능이 있습니다.
게의 효능을 보면 첫째 간의 해독작용이 있습니다.
둘째 게에 들어 있는 키토산이라는 성분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이 높은 게를 먹으면 효능이 있습니다.
셋째 게의 타우린과 시스테인 아미노산이 혈압을 조절하는 작용을 합니다.
넷째 게의 아가미가 폐 역할을 합니다.
이 아가미를 통하여 폐에서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낸 뒤 산소를 내보내어 폐를 맑게 해줍니다.
다섯째 게의 껍질에 많이 있는 키틴이라는 성분이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여섯째 게의 풍부한 칼슘이 치아와 골격의 형성에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아홉째 게의 칼슘은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하여 불안하거나 초조할 때 효과가 좋습니다.
열두 번째 게의 아르기닌이라는 성분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간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성분입니다.
게를 고를 때는?
게는 껍질이 딱딱하여 일반적으로 표면을 솔로 문질러 깨끗이 해서 드셔야 합니다.
게 껍질에는 키틴이라는 물질 때문에 항균, 항바이러스,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게 껍질 속의 키틴을 먹으면 몸 안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막고 체지방을 분해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게 껍질은 키틴 이외에 키토산이라는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이 게나 게의 껍질의 키틴을 분해하여 키틴을 얻는 과정에서 생긴 물질입니다.
이런 것들은 열에 약하므로 그냥 드시기보다는 쪄서 드시는 게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게를 먹으면 탈나지 않느냐?
게가 좋다고 너도 나도 먹게 되면 소화흡수가 잘 안될 뿐 아니라 영양의 균형이 깨지기 쉽기 때문에 허약한 사람이나 병후 회복을 위한 보양식으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게를 먹으면 생기는 병은?
그리고 게를 먹고 나서는 찌꺼기가 남아 있는 것을 먹어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게를 익혀서 먹거나, 파를 넣고, 참기름을 넣고, 마늘을 넣고, 생강을 넣어 먹는 게 좋습니다.
게를 먹을 때 주의할 사항은?
왜냐하면 게의 성질이 차기 때문인데, 게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에 열이 많은 사람들이 먹게 되면, 배가 차가워지고 설사를 자주하거나 소화불량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소화가 안 될 경우에는 단백질이 변성되어 배에 가스가 차고 헛배가 부르게 됩니다.
그러고 어른들 중 소화기가 약해 소화불량이나 복통이 잦은 경우에는 게를 오래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게를 맛있게 먹으려면?
게가 신선해야 합니다.
게가 신선해 보이는 것은 해감이 충분히 되었다는 것이므로, 뒤집어서 등딱지나 다리가 많이 새물거리는 것은 신선하지 않다는 것이므로 확인하고 사셔야 합니다.
게가 싱싱한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게를 고를 때에는 손가락으로 문질러서 이물이 묻어나지 않으면 싱싱한 것입니다.
게의 배를 눌러서 들어가지 않으면 신선하지 않은 것입니다.
게가 싱싱하려면?
게는 일단 해감이 잘 되어야 합니다.
해감이 잘 된 게의 경우 게딱지를 열었을 때 검은빛이 나야 합니다.
게가 상하는 것을 잘 모르겠다면?
게는 상하더라도 사람 몸에는 해롭지 않습니다.
보관할 때는 게를 깨끗하게 씻고 다리의 끝부분을 잘라낸 뒤 배 부분으로 살짝 눌러서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두면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냉동 보관한 것을 다시 상온에 해동하면 거의 본래의 맛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게를 잘못 보관하면 비린내가 심해서 먹을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게가 죽은 경우에는 비린내가 나고, 게의 등딱지를 열어보면 속에 있던 노란 내장이 흘러 나와서 그 냄새 때문에 맛이 없게 됩니다.
또한 게의 배 부분에는 더러운 이물질이 묻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이 게 살의 흡즙을 막는 코팅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게가 죽게되면 이물질이 다 빠져나가지 못해 게가 죽어 있습니다.
따라서 게는 가능한 한 빨리 건져내서 냉장보관하거나 바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게를 먹고 탈나는 것을 막는 방법은?
게를 날 것으로 먹으면 대개는 이 같은 방법을 생각하는데, 게에는 히스타민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많이 먹게 되면 위와 장의 운동이 빨라져 복통, 설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몸이 찬 사람은 게의 알을 먹으면 설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 게를 먹고 나서는 따뜻한 녹차나 보리차를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 게와 함께 양념을 한 음식을 먹은 뒤에는 따뜻한 물이나 보리차를 먹으면 좋습니다.
게 껍질 손질법 게껍질 손질법은 어렵지 않은데 게살을 발라낼 때는 등딱지의 가장자리를 떼어내고 게 다리에 붙어 있는 이물질부터 제거해야 합니다.
그 다음, 게의 집게다리 마디에 있는 노란 내장이 흐르지 않도록 잘라줍니다.
또 게의 몸통을 세로로 반 잘라 살을 긁어줍니다.
이렇게 손질된 게는 게찜이나 탕을 끓이거나 튀김을 하면 감칠맛이 나고 맛이 더욱 좋아집니다.
주의: 이 글의 모든 내용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의 의견입니다.
글에는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일체의 피해에 대해 필자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글을 통해 어떠한 행위를 하기 전에 반드시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때는 사과 섭취를 중단하거나 적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0) | 2022.11.16 |
---|---|
단감은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능은 조금 떨어지는 과일이라 할 수 있다 (0) | 2022.11.16 |
이러한 당분은 당분만 있는 앵두보다는 풋과일에 더 많이 들어있습니다 (0) | 2022.11.16 |
생청국장을 드실때 밥을 지어서 드세요 (0) | 2022.11.16 |
최근 네티즌 사이에서 불고기에 대해 이런 식의 논쟁이 한창이다 (0) | 2022.11.16 |